일본 대지진 국내 건설업 영향은
해외수주 경쟁 완화 불구 득실 엇갈려
/일본 복구시장 진출 가능성도 희박
일본 대지진 사태로 해외수주 기회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싹트고 있다.
반면 전문가들은 국내 건설사의 복구사업 참여 길이 좁은데다 일본 기업과의 컨소시엄형 3국 진출이 많은 경쟁구도 특성상 수혜 폭은 업체별로 갈릴 것으로 내다봤다.
김재영 건설산업정보센터장은 “수년간 추락한 일본 건설시장은 업체 수는 넘치고 물량은 적은 반면 입찰제도와 관행은 한국에 버금갈 정도로 까다롭다”며 “기술ㆍ자금조달 등 경쟁력까지 고려하면 국내 건설사가 발붙일 여지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국내 건설경기 침체 속에 경쟁적으로 해외로 나섰던 일본 건설사들이 사상 유례없는 대지진 복구를 위해 일본으로 속속 회귀함에 따른 해외수주 경쟁 완화 가능성에는 전문가들도 공감한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원전, 고속철 등 주요 프로젝트마다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일본기업과 경합해야 하는 부담이 완화되는 효과는 있지만 재스민 혁명이 빨리 진정되고 중동 발주가 살아나지 않는 한 수혜폭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국토연구원의 김성일 건설경제전략센터장은 “향후 본격화될 복구사업으로 건설기계, 중장비나 자재업계 수혜는 기대할 수 있지만 일본시장의 높은 벽과 원전 사태로 인한 원전공사 차질까지 고려하면 건설 쪽 영향은 반반”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중동에 이은 지진사태로 세계경기 침체가 심화해 물가급등, 내수시장 위축으로 주택을 포함한 국내 건설시장의 어려움이 가중될 가능성까지 점쳐진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국내 건설역량을 키우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건설산업연구원의 이복남 연구위원은 “범건설업계 차원에서 ‘자원봉사’ 형태의 복구사업 참여를 모색해야 한다”며 “일본 사태는 향후 통일시대에 맞을 대규모 복구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기술, 자금, 노하우, 경험을 축적할 기회이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김국진기자 jinny@